컨텐츠상세보기

이방인 (커버이미지)
알라딘
이방인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알베르 카뮈 지음, 김진하 옮김 
  • 출판사을유문화사 
  • 출판일2020-08-12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2, 누적예약 0

책소개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
프랑스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세기의 문제작
감각적인 문체와 독특한 문맥을 최대한 살린 한국어판


프랑스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이 을유세계문학전집 105번째 순서를 장식했다. 저자 특유의 건조하면서도 감각적인 문체, 주인공의 파격적이면서도 심오한 인생관을 심도 있게 고민해 번역의 신뢰성을 높였다. 카뮈가 1942년에 발표한 이 소설은 작가 특유의 부조리 철학, 개성 있는 등장인물, 대담한 구성과 하드보일드한 문체 등 여러 특징을 통해 당대의 문제작이자 현대의 고전으로 자리했다. 자신의 살인을 두고 궁색한 변명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주인공 뫼르소는 합리성을 가장한 억압적인 문명 속에서 자신의 운명에 힘겹게 대응하는 현대인을 그린 것으로 평가받는다. 사회적 관례를 추종하면서 사는 삶이 아닌 한 개인으로서 인생의 참된 가치를 추구하며 자신의 생각을 진솔하게 나타내는 것, 이것이 카뮈가 『이방인』과 뫼르소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했던 반항적 삶의 메시지다.

죽음의 파도 속에서 한 개인을 고뇌하게 만든 삶의 부조리
알베르 카뮈의 예리한 통찰이 돋보이는 걸작


프랑스 현대 문학사에서 1960년은 20세기를 풍미한 실존주의 문학이 뜻하지 않게 종지부를 찍은 해로 평가받는다. 앞서 20년 동안 실존주의와 부조리 문학을 대표한 알베르 카뮈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카뮈는 자신보다 앞선 세대로서 실존주의 문학을 주도한 장폴 사르트르와 더불어 새로운 논쟁을 이끈 작가이자 지식인의 표상으로 군림했다. 그가 1942년 『이방인』, 이듬해 『시시포스 신화』를 발표하면서 한 걸음씩 내디딘 행보는 문학사의 한 사건으로 간주되곤 했다.
카뮈가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이방인』을 간행한 것은 그의 나이 스물아홉 살 때의 일이다. 젊은 카뮈는 『이방인』에서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탐구했다. 그리고 주인공 뫼르소를 통해 “인생은 애써 살 만한 가치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뫼르소는 지적인 태도로 인생의 문제들을 진지하게 탐구하는 인물은 아니다. 일상을 순간순간 살아가면서 가끔씩 내뱉는 투박한 말을 통해, 자신의 독백을 통해 생각의 일말을 드러낼 뿐이다. 게다가 그는 어머니의 죽음에 심드렁한 태도를 보이고 “햇빛 때문에” 총을 쏘았다고 변명하는 ‘이상한’ 사람이다. 자신의 살인을 둘러싸고 취조, 심리, 증언이 잇따르는 현장에서 구경꾼의 입장을 취하기까지 한다.
다만 뫼르소는 그런 범행을 저지른 데 대해서는 벌을 달게 받아들인다. 사람은 살다 보면 과오를 저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정작 그의 관심은 다른 데 있다. 그는 자신의 범죄가 아닌, 필멸의 존재로서 인간이 영위하는 삶은 애써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 관심이 있다. 이 땅 위에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회의와 허무에 빠져 있다. 바보를 가장한 현자처럼, 그는 살인의 죄를 지은 철학자인 셈이다.
결국 『이방인』에서 카뮈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삶의 결말이 아닌 시작이다. 모든 삶의 결말은 죽음이고, 그것은 바꿀 수 없다. 따라서 삶의 문제는 그 최초의 질문, 즉 삶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데 있다. 여기서 카뮈는 부조리 개념으로 삶을 조명한다. 그에게 부조리란 철학의 결론이 아닌 전제이며, 인간에게 주어진 조건이다. 결국 문제는 ‘부조리한 삶을 어떻게 살아 나갈 것인가’ 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해 카뮈는 ‘반항’이라는 답을 내놓는다. 개개인이 지속적으로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성찰의 운동, 이것이 카뮈가 뫼르소를 통해 궁극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반항이다.

프랑스 문학에 새로운 지평을 연
독창적인 문체와 실험적인 화법


『이방인』은 내용에서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을 뿐 아니라 서술 형식과 언어 사용에서도 많은 논의를 이끌어 낸 작품이다. 카뮈는 문학과 철학에 뜨거운 열정을 갖고 자기 고백적인 글을 썼지만 결국 ‘예술가로서의’ 작가였다. 삶에 대한 철학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했다고 해도 예술은 오로지 형식을 통해 완성됨을 잊지 않았다. 그래서 그의 글에서는 문체이자 양식으로서의 스타일이 중시되었다.
실제로 『이방인』의 성공은 스타일에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카뮈가 이 소설을 쓸 때 미국 소설의 하드보일드 문체를 차용했다는 점은 중요하다. 장식적인 묘사와 감정 표현을 배제한 뫼르소의 투박하고 덤덤한 문체는 저자가 의식적으로 선택한 결과다. 또한 이 소설은 프랑스 현대 문학에서 새로운 시제, 즉 프랑스 소설의 고유 시제인 단순과거의 문체를 버리고 현재 시제를 기준으로 복합과거와 반과거를 사용한 선구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특히 자유 간접 화법을 능란하게 구사해 타자의 목소리를 화자의 육성에 섞이게 만들어, 시점과 함께 목소리라는 초점까지 드러낸다.
이처럼 『이방인』은 언뜻 보면 뫼르소라는 주인공의 단일한 시점으로 서술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의외로 ‘불투명성’이 다분하다. 화자의 시점과 초점이 미세하게 변화하면서 그 불투명성을 가중한다. 이는 불어로 미세하게 드러나는 차이이기 때문에 한국어 번역으로 그 효과를 완벽히 살려 내기란 불가능하다. 결국 불어 원문의 고유한 문체를 한국어로 최대한 살리는 것이 이 작품의 번역이 갖는 묘미라 할 수 있다.

저자 고유의 스타일을 심도 있게 고민한
‘가장 믿을 수 있는’ 번역


한국에서 『이방인』은 1950년대 이휘영 선생의 번역으로 처음 소개되어 1980년대까지 널리 읽혔고, 이후 김화영 선생의 ‘알베르 카뮈 전집 번역’ 기획으로 새롭게 번역되어 지금까지 꾸준히 읽히고 있다. 또한 작가의 저작권이 소멸된 2010년 이후로는 몇 종의 번역이 추가되어 독자들의 서가를 채우고 있다.
『이방인』 번역에서 가장 힘든 것은 미문의 유혹을 이겨 내는 데 있다. 실제로 카뮈는 프랑스어 글쓰기에서 매우 뛰어난 문체를 구사한 작가다. 그는 소설가이자 희곡 작가이며, 줄곧 신문 기자로도 활약했다. 그만큼 장르나 주제에 따라 다른 문체를 사용했다. 『이방인』의 경우 삶에 특별한 관심이 없는 심드렁한 인간이 자신의 삶을 투박하게 말하는 목소리를 담은 문체가 특징이다. 따라서 원문의 의도적인 투박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원문을 배반하고 유려한 문체로 옮기고픈 유혹을 이기는 것이 번역의 관건이다.
기존의 『이방인』 번역들은 저마다 옮긴이에 따른 작품의 이해와 해석,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는 문체를 담고 있다. 그래서 단어, 문장, 혹은 표현의 문제를 두고 지엽적인 논쟁을 펼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하나의 문체 양식으로서의 스타일만이 작품 전체의 구성물로서 고유한 음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번 번역의 경우 독서의 속도감이 아닌, 카뮈의 건조한 문체로 오롯이 돌아가 뫼르소의 어눌함에 담긴 의도들을 침묵 속에서 되새기는 데 의의가 있다. 독자들이 정확성 시비가 아닌 문체의 선택과 효과를 살피면서 새로운 『이방인』 번역을 즐기길 바란다.

판본 소개

『이방인』의 초판은 1942년에 프랑스 파리의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나왔다. 카뮈 사후인 1962년에 나온 플레야드 총서 『희곡, 소설, 단편소설』에서 편집자인 로제 키요는 주석을 통해 『이방인』의 초고와 인쇄본 사이의 교정 과정을 제시했다. 그리고 2006년에 카뮈의 글들을 시간 순으로 정리해 모은 플레야드 총서 『카뮈 전집 1~4』가 출간되었다. 다만 카뮈는 생전에 공연에 따라 수정을 가한 몇 편의 희곡을 제외하고는 원고를 따로 수정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이방인』을 비롯한 모든 판본에서 눈에 띌 만한 차이는 없었다. 본고는 로제 키요의 플레야드 총서를 기준으로 삼았다.

저자소개

1913년 알제리의 몽도비(Mondovi)에서 아홉 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포도 농장 노동자였던 아버지가 1차 대전 중에 사망한 뒤, 가정부로 일하는 어머니와 할머니 아래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1918년에 공립초등학교에 들어가 뛰어난 교사 루이 제르맹의 가르침을 받았고, 이후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알제 대학 철학과에 입학한다. 카뮈는 이 시기에 장 그르니에를 만나 많은 가르침을 받는다. 1934년 장 그르니에의 권유로 공산당에도 가입하지만 내적 갈등을 겪다 탈퇴한다. 1936년에 고등 교육 수료증을 받고 교수 자격 심사에 지원해 대학 교수로 살고자 했지만 결핵이 재발해 교수직을 포기했다. 이후 진보 일간지에서 기자 생활을 한다.
알베르 카뮈는 1942년에 《이방인》을 발표하면서 이름을 널리 알렸으며, 같은 해에 에세이 《시지프 신화》를 발표하여 철학적 작가로 인정을 받았다. 또한 1944년에 극작가로서도 《오해》, 《칼리굴라》 등을 발표하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다. 1947년에는 칠 년여를 매달린 끝에 탈고한 《페스트》를 출간해 즉각적인 선풍을 일으켰으며 이 작품으로 ‘비평가상’을 수상한다. 1951년 그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내용을 담은 《반항하는 인간》을 발표했다. 이 책은 사르트르를 포함한 프랑스 동료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1957년에 카뮈는 마흔네 살의 젊은 나이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으며 이때의 수상연설문을 초등학교 시절 자신을 이끌어준 선생님에게 바쳤다. 삼 년 후인 1960년 겨울 가족과 함께 프로방스에서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낸 후 친구가 운전하는 차를 타고 파리로 돌아오던 중 빙판길에 차가 미끄러지는 사고로 숨졌다. 사고 당시 카뮈의 품에는 발표되지 않은 《최초의 인간》 원고가, 코트 주머니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전철 티켓이 있었다고 한다. 《이방인》 외에도 《표리》, 《결혼》, 《정의의 사람들》, 《행복한 죽음》, 《최초의 인간》 등을 집필했다.

목차

1부

2부

주 / 해설: 부조리한 인생 뜨겁게 사랑하기 / 판본 소개 / 알베르 카뮈 연보

한줄 서평